반응형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사람들은 근본적으로 상상력이 풍부한 사람이라고 할 수가 있다.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결과물을 마치 눈에 보이는 것처럼, 이미 이루어진 것처럼 가정하고 그 목표를 향해서 접근하기 때문이다.
특히 상상력이 풍부한 프로그래머는 자신이 이미 프로젝트를 마친 것처럼 행동하고 말하곤 한다.
예를 들면 '내가 말이야, 그 프로그램을 작성했기 때문에 나머지 프로세스가 잘 진행될 수 있는 거야'라거나, '이런 식으로 논리를 구성했기 때문에 문제가 생긴 거야'라는 식이다.
아직 문제가 발생하지도 않았는데, 이미 문제가 발생한 것처럼 말한다.
그들의 머릿속에는 이미 완성된 상태의 시스템이 현실처럼 그려져 있기 때문이다.
이런 풍부한 상상력을 가진 사람은 프로그램도 잘 작성한다.
이미 미래의 상(image)을 현실처럼 바로 보고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을 구체적이고 현실적으로 작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런 상상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우선은 *경험*이 있어야 한다.
한 번 게임 프로그램을 작성해 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또 다른 게임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에 그 결과를 예상하기가 쉽다.
한 번 시스템 통합 프로젝트를 진행해 본 사람이라면, 또 다른 시스템 통합 작업의 결과를 쉽게 예측하고 상상해 볼 수 있다.
이처럼 *경험*은 우리의 상상력을 키워주는 중요한 요소다.
경험을 쌓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방법은 한 가지 뿐이다.
많이 작성해 보고, 많이 참여해 보는 것뿐이다.
노력에 비해서 보수가 적더라도 중소기업에서 취업하려는 프로그래머들의 태도는 여기서 기인한다.
경험을 통해서 현금과는 비교할 수 없는 값진 '예측 능력', '예상 능력'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할 수만 있다면 최대한 많은 프로젝트에 참여하도록 하고, 최대한 '많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작성해 보라.
나는 여기서 '다양한'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게임 프로그래머라고 해서 늘 게임 프로그램만 작성해서는 안 된다.
경험이 중요하지만, 정확하게 말하자면 '풍부하고 다양한 경험'이 중요한 것이다.
그러므로 게임 프로그래머라면 그림도 그려보고, 시나리오도 작성해 보고, 3D 그래픽 프로그램도 만져보고, 만화도 많이 보고, 직접 게임장에 가서 게임을 경험해 보는 것도 좋다.
여행도 상상력을 자극할 것이다.
정리하자면, 프로그래머는 다양하고도 많은 경험을 통해서 풍부한 상상력을 길러야 한다는 것이다.
06월 26일 19시 02분 01초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결과물을 마치 눈에 보이는 것처럼, 이미 이루어진 것처럼 가정하고 그 목표를 향해서 접근하기 때문이다.
특히 상상력이 풍부한 프로그래머는 자신이 이미 프로젝트를 마친 것처럼 행동하고 말하곤 한다.
예를 들면 '내가 말이야, 그 프로그램을 작성했기 때문에 나머지 프로세스가 잘 진행될 수 있는 거야'라거나, '이런 식으로 논리를 구성했기 때문에 문제가 생긴 거야'라는 식이다.
아직 문제가 발생하지도 않았는데, 이미 문제가 발생한 것처럼 말한다.
그들의 머릿속에는 이미 완성된 상태의 시스템이 현실처럼 그려져 있기 때문이다.
이런 풍부한 상상력을 가진 사람은 프로그램도 잘 작성한다.
이미 미래의 상(image)을 현실처럼 바로 보고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을 구체적이고 현실적으로 작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런 상상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우선은 *경험*이 있어야 한다.
한 번 게임 프로그램을 작성해 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또 다른 게임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에 그 결과를 예상하기가 쉽다.
한 번 시스템 통합 프로젝트를 진행해 본 사람이라면, 또 다른 시스템 통합 작업의 결과를 쉽게 예측하고 상상해 볼 수 있다.
이처럼 *경험*은 우리의 상상력을 키워주는 중요한 요소다.
경험을 쌓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방법은 한 가지 뿐이다.
많이 작성해 보고, 많이 참여해 보는 것뿐이다.
노력에 비해서 보수가 적더라도 중소기업에서 취업하려는 프로그래머들의 태도는 여기서 기인한다.
경험을 통해서 현금과는 비교할 수 없는 값진 '예측 능력', '예상 능력'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할 수만 있다면 최대한 많은 프로젝트에 참여하도록 하고, 최대한 '많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작성해 보라.
나는 여기서 '다양한'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게임 프로그래머라고 해서 늘 게임 프로그램만 작성해서는 안 된다.
경험이 중요하지만, 정확하게 말하자면 '풍부하고 다양한 경험'이 중요한 것이다.
그러므로 게임 프로그래머라면 그림도 그려보고, 시나리오도 작성해 보고, 3D 그래픽 프로그램도 만져보고, 만화도 많이 보고, 직접 게임장에 가서 게임을 경험해 보는 것도 좋다.
여행도 상상력을 자극할 것이다.
정리하자면, 프로그래머는 다양하고도 많은 경험을 통해서 풍부한 상상력을 길러야 한다는 것이다.
06월 26일 19시 02분 01초